두드러기의 진단에서 다음의 경우는 다른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
■ 발생한 팽진이 1일 이상 계속된다.(일반적인 두드러기는 발생한 후 몇시간이 지나면 소실되고, 그 옆에 다시 팽진이 생깁니다)
(오래동안 없어지지 않는 팽진중에는 결절성 양진도 있습니다)
■ 팽진이 거의 생기지않고, 붉기만 하다.(다른 접촉성피부염이나 기타 알레르기 피부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)
■ 강한 색소 침착을 남긴다. (두드러기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습니다. 몇시간 안에 가라앉기 때문에 색소 침착이 될 시간이 없습니다)
■ 발생한 부위가 멍(내부 출혈)이 생긴다. (혈관염일 가능성이 많습니다)
■ 수포가 발생한다. (주로 헤르페스감염, 대상 포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