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번 글에 이어서 우유 알레르기에 관한 글을 올립니다.
우유 알레르기
우유 알레르기는 유당불내증(lactose intolerance)과 다르다.
우유 알레르기는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(알레르기 반응)이다.
극소량의 우유단백질의 섭취도 우유단백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.
반면, 유당불내증은 알레르기가 아니라, “보통 양의 우유당분(유당)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”을 의미하며, 소화되지 않은 탄수화물이 가스, 경련,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.
(유당 불내증)
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 중에는 소량의 우유를 섭취할 경우 증상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, 이런 이들은 랙트에이드(Lactaid)로 알려진 소화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.
랙트에이드는 우유단백질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.
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, 다음 성분이 있는지 라벨을 확인해야 한다:
"우유", "유장(whey)", "건조 유고형분", "카제인", "락트알부민", "카세인나트륨", "칼륨 카세인염", "칼슘 카세인염", "버터", "치즈", "마가린", "커드(curds- 응유- 우유가 산이나 효소에 의하여 응고된 것)"
금기 식품:
-
우유
-
크림
-
요구르트
-
랙트에이드(Lactaid)
(랙트에이드)
-
유산균 우유
-
아이스크림과 아이스 우유
-
우유로 만든 샤베트, 얼린 요구르트
-
크림 소스와 스프, 화이트소스
-
버터 또는 마가린(parve 마크(육류나 유제품 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증하는 마크)가 있는 것은 예외)
(parve 마크)
-
치즈
-
빵을 포함한 우유로 만든 구은 제품
-
으깬 감자와 야채을 섞은 것중에 우유, 치즈, 버터 또는 크림을 넣은 것
-
인스턴트 코코아, 건조유가 함유된 조식 믹스(인스턴트 식품)
원문 : http://www.intelihealth.com/IH/ihtPrint/WSIHW000/7945/8216/7786.html?d=dmtContent&hide=t&k=basePrint